본문 바로가기

ETE160

포기의 심리학 포기의 심리학 백영옥 소설가우연히 티브이를 켰다가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여름에 출시할 노래 주제를 정하는 장면을 봤다. 한 가수가 '포기하지 마'로 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니 다른 가수가 '그건 요즘 트렌드와 맞지 않는다'고 얘기하며 '포기해'가 낫다는 말을 덧붙였다. '포기'라는 말을 듣는 순간 많은 생각이 밀려왔다. 강연을 하면서 알게 된 역설적 사실이 있다. 가장 활기차고 적극적으로 강연을 듣는 계층이 노년층이라는 것이다. 꿈과 희망이 넘쳐야 할 청소년 대상 강연이 실은 활기가 없는 경우도 많다. 아이들 얘기를 들어보면 일찍이 특목고를 포기했고, 수학을 포기했다. 단계적 포기에 익숙해진 아이 중 수능을 포기한 아이도 적지 않고, 극단적으로 이번 생은 망했다는 정서에 휩싸이기도 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 2020. 6. 23.
폐렴구균 예방접종 HOME > 예방접종 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폐렴구균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폐렴구균는 어떻게 전파될까요?정상인이나 환자의 상기도에 있는 주로 있는 폐렴구균은 주로 호흡기 비말(미세 침방울)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폐렴구균의 증상은 무엇인가요?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비침습성 감염(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등)과 침습성 감염(수막염, 균혈증 등)으로 구분되며, 성인에서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에서는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및 패혈증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폐.. 2020. 6. 23.
운동 왜 하냐고?…400만명 조기사망 예방 운동 왜 하냐고?…400만명 조기사망 예방(연구)권순일 기자 [사진=last19/gettyimagesbank] 운동을 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거의 400만명의 조기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권장량의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168개국의 자료를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일주일에 보통 강도의 유산소운동은 최소 150분, 높은 강도의 운동은 75분 이상 할 것을 권장한다. 연구팀은 운동 데이터와 활동적이거나 비활동적인 사람들의 조기 사망 위험 추정치를 결합함으로써 운동으로 인해 예방할 수 있는 조기 사망자 수를 추정했다. 그 결과,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연간 조기 사망을 15%, 사망자 수로 따졌을 .. 2020. 6. 23.
왜 대중음악의 곡 길이는 대부분 4분 안팎일까 왜 대중음악의 곡 길이는 대부분 4분 안팎일까 우리가 듣는 대중음악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노래의 길이가 약 4분 내외라는 것이다. 음악의 길이가 이렇게 정해진 데는 ‘레코드판’의 발명이 큰 영향을 미쳤다. 노래를 듣기 위해 사용하는 검고 동그란 레코드판을 보면, 표면에 미세한 홈이 파여 있다. 이 홈을 ‘소리골’이라 부르는데, 음악 소리를 내는 핵심이다. LP판의 표면을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음악 신호가 담겨있는 홈을 따라 축음기의 바늘이 움직이면서 음악을 재생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음악을 재생하는 ‘축음기’에 레코드판을 올리고 바늘을 얹으면, 레코드판이 돌면서 바늘이 소리골을 따라간다. 이때, 소리골이 파인 형태에 따라 바늘이 미세하게 진동하고, 이 신호를 확대하면 음악이 나온다. 레코드판.. 2020. 6. 23.